한국인 절반은 부족한 마그네슘, 어떤 음식에 많을까?




마그네슘은 우리 몸에 4번째로 많은 미네랄입니다. 몸에서 일어나는 600여 개의 화학반응을 돕는 조효소로 사용됩니다.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돕기도 하죠. 단백질 합성, 에너지 대사, 혈압 조절 등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반응에 사용되는 만큼 마그네슘은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마그네슘은 신장에서 많이 배출되기 때문에 몸에 흡수되기 어렵습니다. , 즉석식품 위주로 식사한다면 마그네슘을 필요한 만큼 먹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 절반은 마그네슘 섭취가 부족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부산 동서대 식품영양학과 이현숙 교수 연구팀이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연구팀은 28419명의 마그네슘 섭취량과 한국영양학회·보건복지부가 제시한 평균 필요량을 비교했습니다.
 
마그네슘 섭취가 평균 필요량을 충족하는 한국인은 56.8%에 불과했습니다. 연구팀은 특히 12~29세 여성과 65세 이상 노인층에서 마그네슘 섭취가 부족하다고 발표했습니다. 56세 이상에서 마그네슘 섭취량이 필요량을 충족한 비율은 8.1%에 불과했습니다.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근육통, 근육경련, 손발 저림이 나타납니다. 동서대 연구팀은 마그네슘 섭취가 부족하면 대사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고혈압··우울증·사망률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한국인은 식물성 식품으로 대부분의 마그네슘을 섭취합니다. 녹색 잎채소·콩과 작물·과일 등
식물성 식품에 마그네슘이 풍부하게 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어떤 식품에 마그네슘이 많이 들었는지 알아봅시다.
 
마그네슘은 엽록소의 구성 성분으로 케일, 브로콜리 등 녹색 잎채소에 많습니다. 특히 시금치에 마그네슘이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금치는 엽산과 엽록소가 많아 위암, 대장암, 폐암 등을 억제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검은콩·강낭콩 등 콩류에 마그네슘이 풍부합니다. 콩류 중에서도 대두는 100g에 마그네슘이 215들어있는데요, 대두로 만든 두유 한 컵엔 마그네슘 60, 두부 반 컵엔 50이 들었습니다. 대두는 식물성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해 밭의 고기라고도 불립니다.
 
경기에 출전한 운동선수가 바나나를 먹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바나나는 근육과 신경이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마그네슘과 칼륨이 풍부합니다. 근육 경련 등 부상을 막아주죠. 소모된 에너지를 빠르게 보충하고, 근육 회복에도 좋습니다.
 
부드러운 식감에 노란색이라 숲속의 버터라고 불리는 아보카도! 아보카도는 마그네슘뿐 아니라 각종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슈퍼푸드로 꼽힙니다. 나트륨을 희석하고 배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위 점막을 튼튼하게 해 위염 완화에도 효과적입니다.





더농부 인턴 송정민 
제작 총괄 : 더농부 에디터 나수연
nong-up@naver.com
더농부

참고=
한국경제, <“매일 아침 공복에 아보카도 오일 먹었더니7Kg 빠져” [건강!]>
한국경제, <강추위에 근육경련·혈액순환 장애마시는 마그네슘으로 활력 충전>
아시아투데이, <KOFRUM, 한국인 10명 중 5명 마그네슘 부족 충격’>
MBN, <마그네슘이 풍부한 콩과 미역, 더 영양가 있게 활용하는 법!>
하이닥, <‘마그네슘의 숨겨진 효능은?>
코메디닷컴, <운동할 때 바나나 먹었더니, 근육의 변화가?>
코메디닷컴, <챙겨야 하는 마그네슘, 어떤 식품에 많이 들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