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음력으로 한 해가 시작되는 설날인데요. 이때 빠질 수 없는 음식이 있죠! 바로 떡국입니다. 오래전부터 우리는 새해 첫날이면 떡국을 꼭 먹곤 했는데요. 기록된 떡국의 역사는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조선시대 세시풍속을 담은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을 언급하고 있는데요. 떡이 희다는 뜻에서 ‘백탕’ 혹은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는 뜻인 ‘병탕’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당시 상대에게 나이를 물을 때 “병탕 몇 사발 먹었느냐”라고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가래떡의 흰색은 새해 첫날을 밝게 시작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가래떡의 긴 모양을 닮아 재산도 쭉쭉 늘어나고 오래 살라는 염원도 담고 있습니다. 가래떡을 둥글게 썰어 떡국떡을 만드는 건 그 모양이 엽전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재산이 풍족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떡국은 육수에 떡국떡을 넣어 끓이고 각종 고명을 올려 만드는데요. 기본적인 과정은 비슷하지만 상세한 조리법은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재료만 넣는 곳부터 지역의 특산물을 넣는 곳까지 아주 다양한데요.
서울 – 소고기 떡국
가장 흔히 알려진 떡국입니다. 사골 육수에 떡을 넣고 끓인 다음 소고기와 달걀 고명을 올렸죠. 국간장, 소금, 후추로 간합니다. 취향에 따라 김가루를 뿌리기도 합니다. 맑은 육수에 고명만 간단히 올려 기본적이면서 깔끔한 특징이 있습니다.
경기도 – 조랭이 떡국
경기도 떡국은 이북 지역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서울식 떡국과 비슷한 방식으로 만들지만 조랭이떡이 들어갑니다. 이 떡은 한 해 운수가 길하기를 기원하며 ‘길’함을 뜻하는 누에고치 모양으로 빚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충청도 – 미역 생떡국
충청도의 떡국에는 미역이 들어갑니다. 떡을 넣는 방식도 특이한데요. 익반죽한 쌀가루를 둥글게 빚어 넣거나, 오래 치댄 떡을 길게 만든 다음 두껍게 썰어서 넣습니다. 이렇게 만든 생떡은 가래떡보다 쫄깃하고 부드러운 맛을 냅니다. 충청도에서 많이 나는 다슬기를 넣기도 합니다.
전라도 – 닭장 떡국
‘꿩 대신 닭’은 너무 유명한 속담이죠? 이 기원이 바로 전라도 떡국에 있습니다. 전라도는 원래 떡국에 꿩고기를 넣어 먹었는데요. 꿩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대신 닭을 넣기 시작했습니다. 닭장은 간장을 넣고 졸인 닭고기를 의미합니다. 닭장과 떡을 넣고 끓이면 전라도식 떡국이 됩니다.
경상도 – 꾸미떡국
두부와 고기를 볶아 간장에 졸인 것을 ‘꾸미’라고 부릅니다. 고기 육수를 쓰는 다른 지역과 달리 경상도는 멸치 육수에 떡국을 끓인 뒤 꾸미를 고명으로 사용합니다. 육수에는 간을 약하게 하고 꾸미로 나머지 간을 맞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강원도 – 떡만둣국
만두는 추운 북부지역에서 많이 먹는 음식인데요. 강원도는 그 영향을 받아 오래전부터 떡국에 만두를 넣어 먹었습니다. 만두의 통통한 모양은 복을 가져온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제주도 – 몸떡국
‘몸떡국’의 ‘몸’은 제주도에서 나는 겨울철 별미 해조류인 ‘모자반’의 제주도 방언입니다. 제주도는 모자반을 넣은 떡국을 먹는데요. 돼지로 낸 육수에 모자반과 떡, 메밀가루 등을 넣어 만듭니다.
여러분의 취향을 저격한 떡국은 무엇인가요? 새해에 속을 든든하게 해 줄 맛있는 떡국 드시고 2023년 힘차게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더농부 인턴 박의진
제작 총괄 : 더농부 에디터 나수연
nong-up@naver.com
더농부
참고=
이투데이, <떡국에 두부가?…이렇게 다르다! 지역별 떡국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