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나물과 독초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우리는 봄이 되면 입맛을 돋우는 식재료로 산나물을 많이 찾습니다. 산림청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금까지 독초를 산나물로 착각하고 섭취해 신고된 사례는 총 26건인데요. 그중 85%가 봄철인 3~6월에 발생했습니다. 독초 섭취 사고는 왜 봄철에 주로 발생할까요? 

그 이유는 아직 꽃이 피기 전이기 때문입니다. 식물의 잎과 뿌리만으로는 산나물인지 독초인지 구별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산림청은 4월 14일 많이 헷갈리는 대표적인 산나물과 독초를 소개했습니다.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달짝지근하고 시원한 맛을 자랑하는 원추리! 근심·걱정을 없애 준다고 ‘망우초’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맛이 좋아 된장국, 전, 나물무침 등으로 요리해 먹습니다. 이런 원추리와 헷갈리기 쉬운 독초는 바로 여로입니다.

여로는 풀밭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인데요. 독성이 강해 살충제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원추리와 여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잎을 자세히 들여다봐야 합니다. 잎에 털과 깊은 주름이 보인다면 여로, 털과 주름이 없다면 원추리입니다. 

더덕은 ‘산에서 나는 고기’로 불릴 만큼 섬유질이 풍부하고 특유의 식감이 좋죠. 향도 강하게 나는데요. 면역에 좋은 ‘사포닌’이 풍부해 약재나 다양한 음식으로 활용됩니다. 더덕은 미국자리공과 헷갈릴 수 있습니다.

‘미국자리공’의 뿌리는 더덕, 인삼 등과 비슷하게 생겨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리공이라는 식물은 주변 야산이나 풀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독초입니다. 한약재로 쓰이기도 하지만 독성이 강합니다. 사약에도 넣던 독초죠. 미국자리공은 뿌리 단면에 붉은색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기와 환상의 조합을 자랑하는 명이나물 즉 ‘산마늘’은 독초인 ‘박새’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산마늘은 마늘 향이 강하고 줄기 하나에 잎이 2~3장 달렸지만,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어긋나 있고 주름이 뚜렷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요리해 먹는 산나물도 독이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원추리, 두릅, 고사리 등은 식물 특성상 미량의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요리할 때는 끓는 물에 충분히 데쳐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추리는 성장할수록 구토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콜히친’ 성분이 강해져 어린잎만 섭취해야 합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식약처는 산나물 채취를 하지 않고 구매해서 먹는 것이 독초 섭취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또 먹을 수 있는 산나물도 올바른 조리 방법을 거쳐 독성을 제거하고 먹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봄철 산나물 즐겨보세요! 





더농부 인턴 박의진
제작 총괄 : 더농부 선임에디터 공태윤
nong-up@naver.com
더농부


참고=
산림청 보도자료
KBS, <“인삼인 줄 알고 먹었다가 병원행독초 미국자리공 주의’>
네이버 지식백과, <원추리>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더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