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4월도 중반을 넘어섰습니다. 봄을 알리며 만개한 벚꽃을 본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 주변에 푸릇푸릇하게 피어난 나무가 서 있는 풍경에도 익숙해진 것 같습니다.
산림청이 4월의 임산물로 ‘음나무’를 선정했습니다. 음나무는 가시가 날카롭고 억세 엄하다는 의미로 ‘엄나무’라고도 불리는데요. 나무를 보면 이곳저곳 날카롭게 올라온 가시가 눈에 띕니다.
음나무는 쓰임새가 다양한데요. 줄기 껍질은 한약명으로 ‘해동피’라고 부릅니다. 이 껍질을 삶은 물은 혈액 속 당수치를 낮추고 소염작용에 좋아 당뇨 개선, 관절염 등에 사용하죠. 뿌리는 줄기처럼 한약으로 사용하거나 닭백숙에 넣기도 합니다.
음나무는 사실 보기에는 이래도 우리에게 친근한 산나물과 연관이 있습니다. 산나물 중 독특한 향기를 가진 ‘두릅’의 일종이거든요. 우리가 흔히 먹는 두릅은 ‘참두릅’입니다. 두릅나무의 새순이죠. 음나무에서 자라는 새순은 두릅과 닮아서 ‘개두릅’이라고 부르게 됐습니다.
개두릅과 참두릅. 이 둘은 이름과 생김새가 비슷해 언뜻 보면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개두릅이 참두릅보다 잎이 진하고 윤기가 있습니다. 참두릅보다 쓴맛이 더 강하죠.
음나무 순 개두릅은 영양이 풍부합니다.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A도 많지만, 특히 면역력에 좋은 ‘사포닌’ 성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사포닌이 풍부하기로 유명한 인삼보다도 더 많은 양이라고 하죠.
개두릅은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으면 그 자체로 별미인 산나물입니다. 고기와의 궁합도 좋아 삼겹살이나 쇠고기에 말아 먹어도 좋습니다. 나물, 전, 솥밥 등 다양한 방법으로도 활용해 먹을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모든 두릅은 영양성분이 풍부하지만, 미량의 독성도 있습니다. 두릅을 안전하게 먹기 위해서는 독성이 없어질 수 있도록 끓는 물에 충분히 데쳐 먹어야 하죠.
두릅은 진한 초록색을 띠는 것을 골라야 합니다. 줄기는 굵고 순은 연한 것이 좋습니다. 밑 부분의 나무껍질이 너무 마르지 않은 것을 골라야 합니다. 오늘 반찬은 두릅 요리 어떠신가요?
더농부 인턴 박의진
제작 총괄 : 더농부 선임에디터 공태윤
nong-up@naver.com
더농부
참고=
산림청,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국민건강보험, <봄철 추천 봄나물 BEST 5! 미나리, 봄동, 달래, 돌나물, 두릅 : 건강 효능, 영양소와 잘 고르는 법
두산백과, <두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