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빵’으로 퉁치는 빵들, 진짜 이름은 뭘까?




빵집에 가면 건강빵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빵이 여럿 있습니다. 통밀로 만들어 식이 섬유와 각종 영양 성분이 많고 혈당을 덜 높인다거나, 천연 발효종을 써서 몸에 좋다는 문구가 같이 붙어있고는 하죠.

이렇다 보니 몸에 좋은 건 알겠는데 내가 먹은 빵 이름은 뭔지 모르는일이 종종 생기곤 합니다. 그래서 더농부가 건강빵 특강을 준비했습니다. 편의점에서도 만날 수 있는 빵, 치아바타부터 시작해 볼까요?

20세기 중반 이탈리아에서는 수입 프랑스 바게트로 만든 샌드위치가 인기였습니다. 이탈리아인 제빵사 아르날도 카발라리는 이에 대항하고자 새로운 샌드위치용 빵을 연구했고 1982년에 치아바타를 개발했습니다.

오직 밀가루, , 소금 그리고 발효 반죽으로만 만드는 빵이라 담백한 맛이 특징입니다. 속 재료의 맛을 잘 살려주겠죠? 치아바타 발효 반죽을 만들 때는 이스트를 쓸 수도 있고 천연 효모를 쓸 수도 있습니다.

치아바타는 이탈리아어로 낡은 신발, 슬리퍼를 의미합니다. 이제는 이탈리아를 넘어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빵이 된 덕분에 다양한 치아바타가 탄생했지만 신발처럼 길쭉한 모양은 어딜 가나 같습니다. ‘겉바속쫀식감도요!

다음은 사워도우입니다. 사워도우(sourdough)는 직역하면 신 맛 나는 반죽인데요. 포도, 사과 같은 과일이나 누룩으로 배양한 천연 효모균으로 발효한 빵입니다. 오랜 시간 저온 숙성을 거치고 나면 신맛과 독특한 향이 나죠.

사워도우는 어떤 재료를 넣고 어떤 모양, 방법으로 굽느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이 중 깜빠뉴는 호밀 가루, 밀가루, , 소금, 효모로 만드는 빵입니다. 큼직하고 둥근 모양이죠.

투박한 생김새가 깜빠뉴라는 이름과 잘 어울립니다. 프랑스어로 깜빠뉴는 시골의 빵이라는 뜻이거든요. 유명 프랑스 소설 레미제라블에서 장 발장이 훔쳤던 빵도 바로 이 깜빠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포카치아는 고대 로마인이 만들어 먹던 빵으로 오직 밀가루, , 올리브유만 넣습니다. 앞에서 소개한 빵과 다르게 효모도 넣지 않아 부풀지 않기 때문에 모양이 납작합니다.

고대 로마인 상류층은 포카치아를 꿀이나 치즈와 함께 즐겼습니다. 이탈리아 전체로 퍼진 이후에는 채소, 고기 등 더 다양한 토핑이 올라가기 시작했죠. 피자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빵입니다.

건강빵 패밀리는 모양만 조금 다르고 모두 비슷한 빵인 줄 알았는데요, 자세히 살펴보니 재료도 다르고 각자 품고 있는 이야기도 재밌네요! 앞으로는 빵집에서 오늘 배운 빵들을 잘 구분할 수 있겠죠?





더농부 인턴 방정은
제작 총괄 : 더농부 선임에디터 공태윤
nong-up@naver.com
더농부

참고=
신동아, <1982년生 치아바타는 아는 만큼 맛있다!>
핸드메이커, <치아바타, 바게트살 덜 찐다는 빵들도 알고 먹어야>
공감신문, <[공감신문 알쓸다정] 통밀빵호밀빵의 차이점은?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빵 종류’>
부산일보, <[알수록 +] 빵이 부푸는 것은 효모의 장난>
리얼푸드, <지중해 식단은 옛 로마인들이 시작했다>